TODAY TIL

오늘은 모스 부호를 원래의 문자로 해독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모스 부호는 짧은 신호와 긴 신호(‘.’, ‘-’)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문자와 숫자를 모스 부호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는 .-로, 숫자 ‘1’은 .----로 표기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계별로 접근해 보겠습니다.

문제 이해하기

  • 입력: 모스 부호로 변환한 메시지와 원래 문자열의 길이 NN이 주어집니다. 예를 들어, 모스 부호 .... . .-.. .-.. ---가 입력으로 주어지면 우리는 이것을 HELLO로 해독해야 합니다.
  • 출력: 주어진 모스 부호 메시지를 원래의 문자로 해독하여, 공백 없이 출력해야 합니다.

해결 순서

1단계: 모스 부호와 문자의 매핑 사전 만들기

모스 부호를 해독하기 위해서는 모스 부호와 알파벳(또는 숫자) 간의 변환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morse_code_dict라는 사전을 만들어 각 모스 부호와 해당되는 문자를 연결합니다.

morse_code_dict = {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P", "--.-": "Q", ".-.": "R", "...": "S", "-": "T",
    "..-": "U", "...-": "V", ".--": "W", "-..-": "X", "-.--": "Y",
    "--..": "Z", ".----": "1", "..---": "2", "...--": "3", "....-": "4",
    ".....": "5", "-....": "6", "--...": "7", "---..": "8", "----.": "9",
    "-----": "0", "--..--": ",", ".-.-.-": ".", "..--..": "?", "---...": ":",
    "-....-": "-", ".--.-.": "@"
}

 

2단계: 입력 받기

문제에서는 두 가지 입력이 주어집니다.

  • 첫 번째 줄은 변환할 원래 문자열의 길이인 NN (사용하지 않으므로 무시 가능)
  • 두 번째 줄은 모스 부호 메시지입니다.
N = int(input())  # 문자열의 길이 (사용하지 않음)
morse_code_message = input().split()  # 공백으로 구분된 모스 부호 메시지

 

split() 함수를 사용하여 모스 부호 메시지를 공백 기준으로 나누어 각 모스 부호가 리스트에 저장되도록 합니다.

3단계: 모스 부호 해독하기

모스 부호 메시지에 있는 각 모스 부호를 순서대로 morse_code_dict 사전을 통해 해독하여 원래의 문자로 변환합니다.

 

decoded_message = ""
for code in morse_code_message:
    decoded_message += morse_code_dict[code]  # 사전에서 해당 문자 찾기

 

이 과정에서는 for 반복문을 사용하여 각 모스 부호를 사전에서 찾아 decoded_message에 추가합니다.

4단계: 결과 출력

해독된 문자열 decoded_message를 출력합니다.

print(decoded_message)

 

전체 코드

아래는 위의 단계를 모두 포함한 전체 코드입니다

# 모스 부호와 문자 매핑 사전 만들기
morse_code_dict = {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P", "--.-": "Q", ".-.": "R", "...": "S", "-": "T",
    "..-": "U", "...-": "V", ".--": "W", "-..-": "X", "-.--": "Y",
    "--..": "Z", ".----": "1", "..---": "2", "...--": "3", "....-": "4",
    ".....": "5", "-....": "6", "--...": "7", "---..": "8", "----.": "9",
    "-----": "0", "--..--": ",", ".-.-.-": ".", "..--..": "?", "---...": ":",
    "-....-": "-", ".--.-.": "@"
}

# 입력 받기
N = int(input())  # 문자열의 길이 (사용하지 않음)
morse_code_message = input().split()  # 공백으로 구분된 모스 부호 메시지

# 모스 부호 해독
decoded_message = ""
for code in morse_code_message:
    decoded_message += morse_code_dict[code]  # 사전에서 변환

# 결과 출력
print(decoded_message)

 

마무리

이제 모스 부호 메시지를 해독하는 프로그램이 완성되었습니다! 각 단계를 순서대로 따라가며 코드를 작성하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을 거라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며 코딩 실력을 키워 나가길 응원합니다!

 

TODAY TIL

 오늘은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하는 딕셔너리for문, replace를 쉽게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프로그래머스에 관련 문제를 풀어보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이 글을 통해 딕셔너리의 키와 값, 그리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기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문제 상황: 숫자와 영단어의 변환

코딩을 하다 보면 숫자를 영단어로 바꾸거나, 영단어를 숫자로 바꿔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one4seveneight" 같은 문자열이 있으면 "1478"로 바꾸고 싶을 때, 파이썬에서 딕셔너리를 활용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딕셔너리의 이해: 키와 값

딕셔너리는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키 (key): 특정 값을 찾는 데 사용되는 이름입니다.
  • 값 (value): 키에 연결된 실제 데이터입니다.

예를 들어, 숫자와 그에 해당하는 영단어를 딕셔너리로 표현해 보겠습니다.

number_dict = {
    "zero": "0",
    "one": "1",
    "two": "2",
    "three": "3",
    "four": "4",
    "five": "5",
    "six": "6",
    "seven": "7",
    "eight": "8",
    "nine": "9"
}

 

이 딕셔너리에서 는 "zero", "one" 같은 영단어이고, 은 "0", "1" 같은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

 

2. 딕셔너리와 for문: 키와 값을 쌍으로 사용하기

 딕셔너리를 반복문 for에서 사용할 때, 키만 가져올 수도 있지만, items() 메서드를 사용하면 키와 값을 쌍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or word, digit in number_dict.items():라고 쓰면 word는 키, digit는 값이 됩니다. 따라서, number_dict의 "zero"와 "0"처럼 한 쌍씩 꺼내 올 수 있습니다.

이 구조를 활용해 문자열 속의 영단어를 숫자로 바꿀 수 있습니다.

 

3. replace() 함수로 변환하기

이제 replace() 함수를 활용해 봅시다. replace(찾을 문자열, 바꿀 문자열) 형태로 쓰며, 문자열에서 찾을 부분을 바꿀 부분으로 교체해 줍니다.

예를 들어 s.replace(word, digit)로 for문 안에서 영단어를 숫자로 바꾸는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최종 코드 예시

이제 모든 내용을 종합해서 최종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one4seveneight"을 "1478"로 바꾸는 코드입니다:

 

def solution(s):
    # 숫자 영단어 변환표
    number_dict = {
        "zero": "0", "one": "1", "two": "2", "three": "3", "four": "4",
        "five": "5", "six": "6", "seven": "7", "eight": "8", "nine": "9"
    }

    # for문과 replace로 변환하기
    for word, digit in number_dict.items():
        s = s.replace(word, digit)

    return int(s)  # 숫자 형태로 변환 후 반환

 

이 코드는 for문을 통해 딕셔너리의 각 키와 값을 가져와 replace로 문자열에서 단어를 숫자로 교체한 후, 숫자로 반환합니다.

 

정리

  • 딕셔너리는 키-값 쌍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for word, digit in dict.items()**를 사용하면 키와 값을 한 쌍씩 가져올 수 있습니다.
  • replace() 함수는 찾을 부분과 바꿀 부분을 인자로 받아 문자열을 교체합니다.

이 글을 통해 딕셔너리와 for문, 그리고 replace의 활용법을 잘 이해하셨길 바랍니다! 더 쉬운 설명이나 추가 질문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 주세요. 😊

조건에 맞는 서경(LONG_W) 값 찾기 SQL 문제 해결하기

오늘은 SQL을 이용해 특정 조건에 맞는 위도와 경도 값을 찾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STATION이라는 테이블이 주어지고, 주어진 조건에 따라 서경(LONG_W) 값을 찾는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1. 테이블 설명

STATION 테이블에는 다음과 같은 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FieldType

ID NUMBER
CITY VARCHAR2(21)
STATE VARCHAR2(2)
LAT_N NUMBER
LONG_W NUMBER

 

 

  • ID : 고유 식별자
  • CITY : 도시 이름
  • STATE : 주(state) 약자
  • LAT_N : 북위 (위도)
  • LONG_W : 서경 (경도)

이 테이블을 이용해 특정 위도에 맞는 경도를 찾아야 합니다.

2. 문제 이해

주어진 문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조건: LAT_N(북위)의 최소값이 38.7780보다 큰 레코드를 찾습니다. 즉, 38.7780보다 큰 값들 중 가장 작은 북위 값에 해당하는 레코드를 찾으라는 뜻입니다.
  • 결과: 찾은 레코드의 LONG_W(서경) 값을 소수점 네 자리까지 반올림하여 출력합니다.

3. 해결 방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 단계대로 접근하겠습니다.

  1. 조건에 맞는 최소 LAT_N 값 찾기
    LAT_N > 38.7780 조건을 만족하는 값 중에서 가장 작은 LAT_N 값을 구합니다.
  2. 찾은 최소 LAT_N 값의 LONG_W 구하기
    조건에 맞는 최소 LAT_N을 가진 레코드에서 LONG_W 값을 구한 뒤, 소수점 네 번째 자리까지 반올림합니다.

4. SQL 쿼리 작성

아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SQL 쿼리입니다

SELECT ROUND(LONG_W, 4)
FROM STATION
WHERE LAT_N = (SELECT MIN(LAT_N) FROM STATION WHERE LAT_N > 38.7780);

 

 

5. 쿼리 설명

  • 조건부 최소값 찾기
    SELECT MIN(LAT_N) FROM STATION WHERE LAT_N > 38.7780: LAT_N이 38.7780보다 큰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을 찾습니다.
  • 조건에 맞는 LONG_W 선택
    WHERE LAT_N = (SELECT MIN(LAT_N) FROM STATION WHERE LAT_N > 38.7780): 위에서 구한 최소 LAT_N 값과 일치하는 레코드의 LONG_W 값을 선택합니다.
  • 결과 반올림
    ROUND(LONG_W, 4): 최종 결과값을 소수점 네 자리까지 반올림합니다.

결론

이렇게 하면 조건을 만족하는 최소 북위에 해당하는 서경 값이 네 자리 반올림된 형태로 반환됩니다. 이 쿼리 형식을 익혀두면, 다양한 조건의 데이터에서 특정 값을 쉽게 추출할 수 있어 SQL 문제 풀이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서브쿼리도 어떻게 써야하는지 다시 한번 해봐야겠다.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ather Observation Station 5  (0) 2024.12.04
Weather Observation Station 16  (0) 2024.10.29
Weather Observation Station 15  (0) 2024.10.23
Weather Observation Station 14  (0) 2024.10.22
Weather Observation Station 13  (0) 2024.10.20

 

 

TODAY TIL

오늘은 문자열을 특정 규칙에 따라 여러 덩어리로 나누는 문제를 해결해 보았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주어진 문자열을 기준에 따라 잘라내어, 분리된 덩어리 개수를 구해야 했습니다.

 

문제 설명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다음 규칙을 따라 문자열을 여러 문자열로 분해합니다.

  1. 첫 글자를 읽고, 이 글자를 x로 설정합니다.
  2. 문자열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나가면서, x와 x가 아닌 다른 글자들이 나온 횟수를 각각 셉니다.
  3. 두 횟수가 처음으로 같아지는 순간, 지금까지 읽은 문자열을 하나의 덩어리로 분리합니다.
  4. 분리한 문자열을 제외하고 남은 문자열에 대해서 같은 과정을 반복합니다.
  5. 문자열이 모두 처리될 때까지 반복하며, 분리된 문자열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예시:

  • 입력: "banana"
  • 출력: 3 (분리된 문자열: ["ba", "na", "na"])

 

해결 과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단계로 접근했습니다.

  1. 첫 글자 선택하기: 문자열에서 첫 글자를 x로 설정합니다.
  2. 글자 수 세기: 첫 글자 x의 개수와 x가 아닌 글자의 개수를 세면서 진행합니다.
  3. 덩어리 분리: 두 개의 개수가 같아지는 순간을 기준으로 덩어리를 분리합니다.
  4. 남은 문자열 반복: 문자열의 끝까지 위 과정을 반복하여 남은 모든 문자열을 분리합니다.

 

코드 구현

아래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Python 코드입니다.

def solution(s):
    answer = 0  # 분리된 덩어리 개수
    i = 0  #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

    while i < len(s):  # 문자열의 끝까지 읽을 때까지 반복
        x = s[i]  # 첫 글자를 x로 설정
        count_x = 0  # x의 개수를 세는 변수
        count_other = 0  # x가 아닌 글자의 개수를 세는 변수

        # x와 다른 글자들을 세어가며 두 개가 같아질 때까지 진행
        while i < len(s):
            if s[i] == x:
                count_x += 1  # x 글자가 나오면 count_x 증가
            else:
                count_other += 1  # 다른 글자가 나오면 count_other 증가

            i += 1  # 다음 글자로 이동

            # x와 다른 글자의 개수가 같아지면 덩어리 분리
            if count_x == count_other:
                answer += 1  # 덩어리 하나 추가
                break  # 분리 후 다시 반복
    
        # 남은 문자열이 있으면 마지막 덩어리로 추가
        if i == len(s) and count_x != count_other:
            answer += 1
    
    return answer

 

코드 설명

  • 첫 글자 설정: 처음 x를 설정해주고, count_x와 count_other를 초기화합니다.
  • 문자 개수 세기: count_x는 x 글자, count_other는 x가 아닌 글자의 개수를 나타내며, 둘이 같아질 때마다 덩어리를 하나 추가합니다.
  • 남은 문자열 처리: 문자열 끝까지 다 읽었는데도 두 개수가 다르다면 남은 문자열을 마지막 덩어리로 간주합니다.

예제 테스트

# 예제 입력
print(solution("banana"))  # 출력: 3
print(solution("abracadabra"))  # 출력: 6
print(solution("aaabbaccccabba"))  # 출력: 3

 

배운 점

  • 문자열의 특정 규칙을 기준으로 구분해야 할 때, 문자를 카운팅하는 방법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분리 조건에 따라 반복문을 중간에 빠져나오거나 특정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달았습니다.
  • 알고리즘의 기초를 배우는게 중요하다는걸 느꼈습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문자열 분리 문제를 규칙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익힐 걸 공유할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TODAY TIL

오늘의 문제는  프로그래머스에 있는 크기가 작은 부분 문자열 였는데요.

아직 알고리즘이 익숙하지 않은 초보지만 푼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서 작성해 봅니다.

 

문제 설명
주어진 숫자 문자열 t와 p가 있을 때, t에서 p와 길이가 같은 부분 문자열을 잘라내어 숫자로 변환한 뒤, 이 숫자가 p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를 찾는 문제입니다.

  • 예를 들어, t = "3141592"이고 p = "271"이라면, t에서 길이가 3인 부분 문자열을 추출하여 숫자로 변환하고 271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를 세어야 합니다.

입력 예시

  • t = "3141592"
  • p = "271"

출력 예시

  • 결과: 2 (141, 159 두 개의 숫자가 271보다 작음)

문제 해결 방법

이 문제를 단계별로 쉽게 풀이해보겠습니다.

  1. 부분 문자열 길이 구하기
    p의 길이와 같은 길이의 부분 문자열을 t에서 잘라낼 것입니다. 따라서, p의 길이를 미리 구해 놓습니다.
  2. 반복문으로 부분 문자열 만들기
    t에서 p의 길이만큼 부분 문자열을 하나씩 잘라내야 하므로, t를 처음부터 끝까지 순회하면서 p와 같은 길이의 부분 문자열을 만듭니다.
  3. 숫자 변환 후 비교하기
    잘라낸 부분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한 뒤, p와 비교합니다. 만약 p보다 작거나 같은 숫자라면, 이 부분 문자열은 조건에 맞는 것이 됩니다.
  4. 개수 세기
    조건에 맞는 부분 문자열이 나올 때마다 개수를 하나씩 더합니다.
  5. 최종 결과 반환하기
    반복이 끝나면 조건에 맞는 부분 문자열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코드 구현

def solution(t, p):
    length_p = len(p)  # p의 길이를 구해서 저장
    count = 0  # 조건에 맞는 부분 문자열 개수를 세기 위한 변수
    
    for i in range(len(t) - length_p + 1):  # t에서 부분 문자열을 잘라내기 위한 반복문
        substring = t[i:i + length_p]  # 부분 문자열 생성
        if int(substring) <= int(p):  # 숫자로 변환해 p와 비교
            count += 1  # 조건을 만족하면 count를 1 증가
    
    return count  # 최종 개수 반환

 

 

한 줄씩 아주 쉽게 설명하기

  1. length_p = len(p)
    • p의 길이를 구해서 length_p에 저장. 이 길이만큼 t에서 잘라냄
  2. count = 0
    • 조건에 맞는 숫자가 몇 개인지 세기 위해 처음에 count를 0으로 설정.
  3. for i in range(len(t) - length_p + 1)
    • t에서 p와 같은 길이만큼 잘라낼 건데, 한 글자씩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잘라냄.
    • 예를 들어, p의 길이가 3이면 t에서 첫 글자부터 3글자씩 이동하면서 반복.
  4. substring = t[i:i + length_p]
    • t의 i 위치부터 p와 같은 길이만큼 잘라내서 substring이라는 부분 문자열을 만듬.
    • 예를 들어, t = "3141592"이고 p = "271"이라면, substring이 314, 141, 415... 이렇게 돼요.
  5. if int(substring) <= int(p)
    • substring과 p를 숫자로 바꿔서 비교
    • 만약 substring이 p보다 작거나 같으면 조건을 만족
  6. count += 1
    • 조건을 만족하면 count를 1씩 더해요.
  7. return count
    • 마지막으로 조건에 맞는 개수(count)를 결과로 내보내요.

코드 예시

출력 결과

  • 예를 들어, t = "3141592"이고 p = "271"이면:
    • 314, 141, 415, 159, 592 중에서 271보다 작거나 같은 숫자는 141과 159 두 개니까, 답은 2가 됩니다.

✍️ 풀이 요약

이 문제는 주어진 문자열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 문자열을 찾아서 개수를 세는 문제입니다. p의 길이만큼 부분 문자열을 t에서 하나씩 잘라내면서, p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풀이할 수 있습니다.

 

문제 풀고 느낀점

  • 어떻게 풀어야 할지 생각을 많이 해서 풀게되었다.
  • 문제를 해석하고 하나하나씩 풀어나가는게 중요하다는걸 느꼈다.
  • CHAT GPT를 사용한다면 바로 답을 알려달라고 하지말고 문제 푸는 방법에 대해서 물어보자 그럼 해결방법의 힌트를 제공해준다.
  • 코드를 모르면 하나씩 설명해 달라고 하자 이해하기가 쉽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