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TIL

안녕하세요! 오늘은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 중 단 한 명의 완주하지 못한 선수를 찾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다뤄보겠습니다. 이 문제는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나오는 유형으로, 배열과 정렬을 다루는 좋은 연습이 됩니다.

 

문제 설명

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했는데,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완주했습니다.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completion이 주어졌을 때,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을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제한사항

  •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의 수는 1명 이상 100,000명 이하입니다.
  • completion 배열의 길이는 participant의 길이보다 1 작습니다.
  • 참가자의 이름은 1개 이상 20개 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참가자 중에는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방법

이 문제를 효율적으로 풀기 위해 정렬을 사용한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해결 방법 순서

  1. participant와 completion 배열을 정렬합니다.
  2. 정렬된 상태에서 두 배열을 처음부터 비교하면서 일치하지 않는 요소를 찾습니다.
  3. 만약 모든 요소가 일치하면 participant 배열의 마지막 요소가 완주하지 못한 선수입니다.

 

코드 구현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participant.sort()  # 참가자 배열 정렬
    completion.sort()   # 완주자 배열 정렬
    
    # 정렬된 배열에서 비교
    for i in range(len(completion)):
        if participant[i] != completion[i]:
            return participant[i]
    
    # 마지막 참가자가 완주하지 못한 경우
    return participant[-1]

 

예제 테스트

예제 #1:

print(solution(["leo", "kiki", "eden"], ["eden", "kiki"]))  # 결과: "leo"

 

예제 #2

print(solution(["marina", "josipa", "nikola", "vinko", "filipa"], ["josipa", "filipa", "marina", "nikola"]))  # 결과: "vinko"

 

예제 #3:

print(solution(["mislav", "stanko", "mislav", "ana"], ["stanko", "ana", "mislav"]))  # 결과: "mislav"

 

코드 설명

  • participant와 completion 배열을 정렬하여 순서를 맞춥니다.
  • 두 배열을 비교하며 첫 번째로 다른 이름을 반환합니다.
  • 만약 모든 이름이 일치하면 participant 배열의 마지막 이름을 반환합니다. 이는 정렬된 completion 배열의 마지막 요소와 비교했을 때, 남는 한 명이기 때문입니다.

시간 복잡도

이 솔루션은 정렬에 의해 O(nlog⁡n)O(n \log 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집니다. nn은 participant 배열의 길이입니다.

마무리

이 방법은 배열 정렬과 비교를 사용하여 효율적이고 직관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동명이인이 있어도 정확히 동작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TODAY TIL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폰켓몬 선택과 관련된 흥미로운 코딩 문제를 다뤄보겠습니다. 단계적으로 설명하고 코드 구현을 공유합니다.

 

문제 설명

여러분은 오랜 여행 끝에 홍 박사님의 연구실에 도착했습니다. 홍 박사님은 여러분에게 연구실에 있는 N마리의 폰켓몬 중 N/2마리를 선택해도 좋다고 했습니다. 같은 종류의 폰켓몬은 같은 번호를 가지며, 여러분은 최대한 다양한 종류의 폰켓몬을 선택하고 싶습니다.

문제의 목표: N마리의 폰켓몬 중 최대 N/2마리를 선택할 때, 가장 다양한 종류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경우를 찾고, 그때의 폰켓몬 종류의 수를 반환하는 것입니다.

제한사항

  • nums는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담긴 1차원 배열입니다.
  • N은 항상 짝수이며, 1 이상 10,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폰켓몬의 종류 번호는 1 이상 200,0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단계별 해결 방법

  1. 입력 분석:
    • nums 배열에는 각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배열의 길이 N은 항상 짝수입니다. 따라서 N/2마리의 폰켓몬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중복 제거:
    • set 자료형을 사용하여 배열에서 중복을 제거하고 고유한 폰켓몬 종류의 수를 구합니다.
  3. 최대 선택 가능한 폰켓몬 수 계산:
    • 선택할 수 있는 최대 종류의 개수는 min(len(unique_pokemon), N // 2)입니다.
      • len(unique_pokemon)은 중복 제거 후 고유한 종류의 개수입니다.
      • N // 2는 선택할 수 있는 폰켓몬의 총 수입니다.
  4. 코드 구현
def solution(nums):
    # 중복 제거 후 고유한 폰켓몬 종류의 수 계산
    unique_pokemon = set(nums)
    
    # 선택할 수 있는 폰켓몬 종류의 최댓값 계산
    return min(len(unique_pokemon), len(nums) // 2)

 

코드 설명

  • set(nums)를 사용하여 nums 배열에서 중복된 종류 번호를 제거합니다.
  • min(len(unique_pokemon), len(nums) // 2)를 사용해 선택할 수 있는 폰켓몬 종류의 최대 개수를 계산합니다.
    • 고유한 폰켓몬 종류의 수(len(unique_pokemon))가 선택 가능한 수(N/2)보다 작으면 모든 고유 종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고유한 폰켓몬 종류의 수가 N/2보다 크다면 N/2만큼의 고유 종류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제

입력: nums = [3, 1, 2, 3]

  1. set(nums) 결과: {1, 2, 3} (고유한 폰켓몬 종류: 3개)
  2. 선택할 수 있는 최대 개수: len(nums) // 2 = 2
  3. 반환값: min(3, 2) = 2

결과: 최대 2종류의 폰켓몬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결론

이 문제는 배열에서 중복된 항목을 제거하고 선택할 수 있는 폰켓몬의 종류를 비교하는 간단한 문제였습니다. 중복 제거를 위한 set 사용과 최소값 계산을 통해 다양한 경우를 쉽게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여러분도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할 때 중복 제거와 최소값 계산을 활용해 보세요!

 

TODAY TIL

 오늘은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하는 딕셔너리for문, replace를 쉽게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프로그래머스에 관련 문제를 풀어보면서 정리하려고 합니다. 이 글을 통해 딕셔너리의 키와 값, 그리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기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문제 상황: 숫자와 영단어의 변환

코딩을 하다 보면 숫자를 영단어로 바꾸거나, 영단어를 숫자로 바꿔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one4seveneight" 같은 문자열이 있으면 "1478"로 바꾸고 싶을 때, 파이썬에서 딕셔너리를 활용해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딕셔너리의 이해: 키와 값

딕셔너리는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키 (key): 특정 값을 찾는 데 사용되는 이름입니다.
  • 값 (value): 키에 연결된 실제 데이터입니다.

예를 들어, 숫자와 그에 해당하는 영단어를 딕셔너리로 표현해 보겠습니다.

number_dict = {
    "zero": "0",
    "one": "1",
    "two": "2",
    "three": "3",
    "four": "4",
    "five": "5",
    "six": "6",
    "seven": "7",
    "eight": "8",
    "nine": "9"
}

 

이 딕셔너리에서 는 "zero", "one" 같은 영단어이고, 은 "0", "1" 같은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입니다.

 

2. 딕셔너리와 for문: 키와 값을 쌍으로 사용하기

 딕셔너리를 반복문 for에서 사용할 때, 키만 가져올 수도 있지만, items() 메서드를 사용하면 키와 값을 쌍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or word, digit in number_dict.items():라고 쓰면 word는 키, digit는 값이 됩니다. 따라서, number_dict의 "zero"와 "0"처럼 한 쌍씩 꺼내 올 수 있습니다.

이 구조를 활용해 문자열 속의 영단어를 숫자로 바꿀 수 있습니다.

 

3. replace() 함수로 변환하기

이제 replace() 함수를 활용해 봅시다. replace(찾을 문자열, 바꿀 문자열) 형태로 쓰며, 문자열에서 찾을 부분을 바꿀 부분으로 교체해 줍니다.

예를 들어 s.replace(word, digit)로 for문 안에서 영단어를 숫자로 바꾸는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최종 코드 예시

이제 모든 내용을 종합해서 최종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one4seveneight"을 "1478"로 바꾸는 코드입니다:

 

def solution(s):
    # 숫자 영단어 변환표
    number_dict = {
        "zero": "0", "one": "1", "two": "2", "three": "3", "four": "4",
        "five": "5", "six": "6", "seven": "7", "eight": "8", "nine": "9"
    }

    # for문과 replace로 변환하기
    for word, digit in number_dict.items():
        s = s.replace(word, digit)

    return int(s)  # 숫자 형태로 변환 후 반환

 

이 코드는 for문을 통해 딕셔너리의 각 키와 값을 가져와 replace로 문자열에서 단어를 숫자로 교체한 후, 숫자로 반환합니다.

 

정리

  • 딕셔너리는 키-값 쌍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for word, digit in dict.items()**를 사용하면 키와 값을 한 쌍씩 가져올 수 있습니다.
  • replace() 함수는 찾을 부분과 바꿀 부분을 인자로 받아 문자열을 교체합니다.

이 글을 통해 딕셔너리와 for문, 그리고 replace의 활용법을 잘 이해하셨길 바랍니다! 더 쉬운 설명이나 추가 질문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 주세요. 😊

 

 

TODAY TIL

오늘은 문자열을 특정 규칙에 따라 여러 덩어리로 나누는 문제를 해결해 보았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주어진 문자열을 기준에 따라 잘라내어, 분리된 덩어리 개수를 구해야 했습니다.

 

문제 설명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다음 규칙을 따라 문자열을 여러 문자열로 분해합니다.

  1. 첫 글자를 읽고, 이 글자를 x로 설정합니다.
  2. 문자열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나가면서, x와 x가 아닌 다른 글자들이 나온 횟수를 각각 셉니다.
  3. 두 횟수가 처음으로 같아지는 순간, 지금까지 읽은 문자열을 하나의 덩어리로 분리합니다.
  4. 분리한 문자열을 제외하고 남은 문자열에 대해서 같은 과정을 반복합니다.
  5. 문자열이 모두 처리될 때까지 반복하며, 분리된 문자열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예시:

  • 입력: "banana"
  • 출력: 3 (분리된 문자열: ["ba", "na", "na"])

 

해결 과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단계로 접근했습니다.

  1. 첫 글자 선택하기: 문자열에서 첫 글자를 x로 설정합니다.
  2. 글자 수 세기: 첫 글자 x의 개수와 x가 아닌 글자의 개수를 세면서 진행합니다.
  3. 덩어리 분리: 두 개의 개수가 같아지는 순간을 기준으로 덩어리를 분리합니다.
  4. 남은 문자열 반복: 문자열의 끝까지 위 과정을 반복하여 남은 모든 문자열을 분리합니다.

 

코드 구현

아래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Python 코드입니다.

def solution(s):
    answer = 0  # 분리된 덩어리 개수
    i = 0  #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

    while i < len(s):  # 문자열의 끝까지 읽을 때까지 반복
        x = s[i]  # 첫 글자를 x로 설정
        count_x = 0  # x의 개수를 세는 변수
        count_other = 0  # x가 아닌 글자의 개수를 세는 변수

        # x와 다른 글자들을 세어가며 두 개가 같아질 때까지 진행
        while i < len(s):
            if s[i] == x:
                count_x += 1  # x 글자가 나오면 count_x 증가
            else:
                count_other += 1  # 다른 글자가 나오면 count_other 증가

            i += 1  # 다음 글자로 이동

            # x와 다른 글자의 개수가 같아지면 덩어리 분리
            if count_x == count_other:
                answer += 1  # 덩어리 하나 추가
                break  # 분리 후 다시 반복
    
        # 남은 문자열이 있으면 마지막 덩어리로 추가
        if i == len(s) and count_x != count_other:
            answer += 1
    
    return answer

 

코드 설명

  • 첫 글자 설정: 처음 x를 설정해주고, count_x와 count_other를 초기화합니다.
  • 문자 개수 세기: count_x는 x 글자, count_other는 x가 아닌 글자의 개수를 나타내며, 둘이 같아질 때마다 덩어리를 하나 추가합니다.
  • 남은 문자열 처리: 문자열 끝까지 다 읽었는데도 두 개수가 다르다면 남은 문자열을 마지막 덩어리로 간주합니다.

예제 테스트

# 예제 입력
print(solution("banana"))  # 출력: 3
print(solution("abracadabra"))  # 출력: 6
print(solution("aaabbaccccabba"))  # 출력: 3

 

배운 점

  • 문자열의 특정 규칙을 기준으로 구분해야 할 때, 문자를 카운팅하는 방법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분리 조건에 따라 반복문을 중간에 빠져나오거나 특정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달았습니다.
  • 알고리즘의 기초를 배우는게 중요하다는걸 느꼈습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문자열 분리 문제를 규칙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익힐 걸 공유할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TODAY TIL

오늘의 문제는  프로그래머스에 있는 크기가 작은 부분 문자열 였는데요.

아직 알고리즘이 익숙하지 않은 초보지만 푼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서 작성해 봅니다.

 

문제 설명
주어진 숫자 문자열 t와 p가 있을 때, t에서 p와 길이가 같은 부분 문자열을 잘라내어 숫자로 변환한 뒤, 이 숫자가 p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를 찾는 문제입니다.

  • 예를 들어, t = "3141592"이고 p = "271"이라면, t에서 길이가 3인 부분 문자열을 추출하여 숫자로 변환하고 271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를 세어야 합니다.

입력 예시

  • t = "3141592"
  • p = "271"

출력 예시

  • 결과: 2 (141, 159 두 개의 숫자가 271보다 작음)

문제 해결 방법

이 문제를 단계별로 쉽게 풀이해보겠습니다.

  1. 부분 문자열 길이 구하기
    p의 길이와 같은 길이의 부분 문자열을 t에서 잘라낼 것입니다. 따라서, p의 길이를 미리 구해 놓습니다.
  2. 반복문으로 부분 문자열 만들기
    t에서 p의 길이만큼 부분 문자열을 하나씩 잘라내야 하므로, t를 처음부터 끝까지 순회하면서 p와 같은 길이의 부분 문자열을 만듭니다.
  3. 숫자 변환 후 비교하기
    잘라낸 부분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한 뒤, p와 비교합니다. 만약 p보다 작거나 같은 숫자라면, 이 부분 문자열은 조건에 맞는 것이 됩니다.
  4. 개수 세기
    조건에 맞는 부분 문자열이 나올 때마다 개수를 하나씩 더합니다.
  5. 최종 결과 반환하기
    반복이 끝나면 조건에 맞는 부분 문자열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코드 구현

def solution(t, p):
    length_p = len(p)  # p의 길이를 구해서 저장
    count = 0  # 조건에 맞는 부분 문자열 개수를 세기 위한 변수
    
    for i in range(len(t) - length_p + 1):  # t에서 부분 문자열을 잘라내기 위한 반복문
        substring = t[i:i + length_p]  # 부분 문자열 생성
        if int(substring) <= int(p):  # 숫자로 변환해 p와 비교
            count += 1  # 조건을 만족하면 count를 1 증가
    
    return count  # 최종 개수 반환

 

 

한 줄씩 아주 쉽게 설명하기

  1. length_p = len(p)
    • p의 길이를 구해서 length_p에 저장. 이 길이만큼 t에서 잘라냄
  2. count = 0
    • 조건에 맞는 숫자가 몇 개인지 세기 위해 처음에 count를 0으로 설정.
  3. for i in range(len(t) - length_p + 1)
    • t에서 p와 같은 길이만큼 잘라낼 건데, 한 글자씩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잘라냄.
    • 예를 들어, p의 길이가 3이면 t에서 첫 글자부터 3글자씩 이동하면서 반복.
  4. substring = t[i:i + length_p]
    • t의 i 위치부터 p와 같은 길이만큼 잘라내서 substring이라는 부분 문자열을 만듬.
    • 예를 들어, t = "3141592"이고 p = "271"이라면, substring이 314, 141, 415... 이렇게 돼요.
  5. if int(substring) <= int(p)
    • substring과 p를 숫자로 바꿔서 비교
    • 만약 substring이 p보다 작거나 같으면 조건을 만족
  6. count += 1
    • 조건을 만족하면 count를 1씩 더해요.
  7. return count
    • 마지막으로 조건에 맞는 개수(count)를 결과로 내보내요.

코드 예시

출력 결과

  • 예를 들어, t = "3141592"이고 p = "271"이면:
    • 314, 141, 415, 159, 592 중에서 271보다 작거나 같은 숫자는 141과 159 두 개니까, 답은 2가 됩니다.

✍️ 풀이 요약

이 문제는 주어진 문자열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 문자열을 찾아서 개수를 세는 문제입니다. p의 길이만큼 부분 문자열을 t에서 하나씩 잘라내면서, p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풀이할 수 있습니다.

 

문제 풀고 느낀점

  • 어떻게 풀어야 할지 생각을 많이 해서 풀게되었다.
  • 문제를 해석하고 하나하나씩 풀어나가는게 중요하다는걸 느꼈다.
  • CHAT GPT를 사용한다면 바로 답을 알려달라고 하지말고 문제 푸는 방법에 대해서 물어보자 그럼 해결방법의 힌트를 제공해준다.
  • 코드를 모르면 하나씩 설명해 달라고 하자 이해하기가 쉽다.
 

 

TODAY TIL

99 클럽에서 진행하는 코딩 테스트 스터디 4기를 오늘부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리하여서 매일 99 클럽에서 제시해준 문제를 풀고 공부 내용이나 문제 풀이를 정리 하려고 합니다.

오늘의 문제는  프로그래머스에 있는 문자열 내 p와 y의 개수 였는데요.

아직 알고리즘이 익숙하지 않은 초보지만 열심히 공부해보겠습니다.

 

문자열에서 'p'와 'y'의 개수 비교하기

문제 설명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이 문자열에서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두 개수가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해야 합니다. 만약 'p'와 'y' 모두 문자열에 없을 경우, 결과는 항상 True를 반환해야 합니다. 이때, 대소문자를 구별하지 않고 비교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예시

  • 입력 "pPoooyY" ➔ 출력 True
  • 입력 "Pyy" ➔ 출력 False

제한사항

  • 문자열 s의 길이는 5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문자열 s는 오직 알파벳으로만 구성됩니다.

문제 해결 단계

이 문제는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의 개수를 세고 두 개수를 비교하는 문제입니다. 이를 중학생도 이해하기 쉽게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1단계: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변환하기

문제에서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하지 않으므로, 먼저 문자열의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바꿔서 비교를 쉽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pPoooyY"를 모두 소문자로 변환하면 "ppoooyy"가 됩니다.

2단계: 'p'와 'y'의 개수 세기

소문자로 변환된 문자열에서 'p'와 'y'가 몇 번씩 나오는지 셉니다.
Python에서는 .count()라는 함수를 사용해 특정 문자의 개수를 쉽게 셀 수 있습니다.

 

s.count('p')  # 문자열에서 'p'의 개수
s.count('y')  # 문자열에서 'y'의 개수

 

3단계: 'p'와 'y'의 개수 비교하기

마지막으로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두 개수가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반환합니다. 만약 두 문자 모두 없다면 개수가 0으로 같기 때문에 자동으로 True가 반환됩니다.

 

파이썬 코드

def solution(s):
    # 1단계: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변환
    s = s.lower()
    
    # 2단계: 'p'와 'y'의 개수 세기
    p_count = s.count('p')
    y_count = s.count('y')
    
    # 3단계: 'p'와 'y'의 개수 비교하여 결과 반환
    return p_count == y_count

 

결과

  • 입력: "pPoooyY"
    • 소문자로 변환: "ppoooyy"
    • 'p'의 개수 = 2, 'y'의 개수 = 2
    • 출력: True
  • 입력: "Pyy"
    • 소문자로 변환: "pyy"
    • 'p'의 개수 = 1, 'y'의 개수 = 2
    • 출력: False

문제 풀고 느낀점

  • 어떻게 풀어야 할지 생각을 많이 해서 풀게되었다.
  • 문제를 해석하고 하나하나씩 풀어나가는게 중요하다는걸 느꼈다.
  • 결과를 보고 나면 쉽지만 좀더 알고리즘의 공부를 많이 해야겠다는 생각 많이 했다.
  • 문제를 더 많이 풀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 Recent posts